본문 바로가기

Technical/System86

Proxmox VE와 Nutanix 비교 분석 Proxmox VE와 Nutanix 비교 분석기업 환경에서 인프라 가상화와 관리의 효율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xmox VE와 Nutanix는 각각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는 대표적인 솔루션으로,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솔루션을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해보며, 어떤 환경에서 더 적합한지 살펴보겠습니다.1. 비용Proxmox VE: Proxmox VE는 오픈 소스 기반으로 제공되며, 라이선스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커뮤니티 에디션은 무료로 제공되며, 필요한 경우 유료 엔터프라이즈 지원 옵션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Nutanix에 비해 훨씬 저렴한 편이어서 초기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려는 기업에 적합합니다. Nutanix: Nutanix는 상용 솔루션으로 라이선스 비용이 상.. 2024. 9. 12.
리눅스 기본 점검 순서 및 명령어 리눅스 기본 점검 순서 리눅스 시스템을 관리할 때 기본적인 점검 항목들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리눅스 시스템의 상태를 점검하는 데 유용한 명령어와 점검 순서입니다. 1. 시스템 정보 확인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첫 번째 단계입니다. uname -a 시스템의 커널 정보와 운영체제, 호스트 이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ostnamectl 호스트 이름과 운영체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시스템 자원 확인 시스템의 CPU, 메모리, 디스크 상태를 점검합니다. top 실시간으로 CPU,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4. 9. 9.
Proxmox VE: 오픈 소스 가상화 플랫폼 Proxmox VE: 오픈 소스 가상화 플랫폼Proxmox VE는 IT 인프라 관리를 위한 필수 가상화 도구를 통합한 오픈 소스 플랫폼입니다.Proxmox VE는 KVM 기반 가상 머신(KVM)과 리눅스 컨테이너(LXC)를 모두 지원하며, 고성능 가상화 환경을 쉽게 만들고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Proxmox VE의 주요 기능을 살펴보고,이 플랫폼이 가상화 환경을 얼마나 더 효율적이게 만들어 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중앙 집중식 관리 기능Proxmox VE는 여러 서버를 중앙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이는 대규모 인프라에서 특히 유용하며, 클러스터 기능을 통해 여러 노드를 단일 관리 인터페이스에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사.. 2024. 9. 9.
서버 접속 에러 (server sent: publickey,gssapi-keyex,gssapi-with-mic) 해결 방법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버 접속시 해당 에러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원격 접속 시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접근을 불가능하게 한 것 입니다. 해결 방법 1)  vi /etc/ssh/sshd_config    // ssh 설정 파일 열기 2)    PasswordAuthetication yes     # PasswordAuthetication no   // PasswordAuthetication yes 줄 주석을 해제   // PasswordAuthetication no 주석 처리  위 설정 작업 완료 이후 원격 접속 시도하면 정상 접속 확인 됩니다. 2024. 8. 30.
"/(루트)" 파티션 및 볼륨 확장 방법(feat. growpart) 리눅스에서 LVM을 사용하고 있다면 용량 확장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부족한 용량을 확장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 "growpart"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용량 확장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리눅스(Rocky Linux 8.10)에서 “#growpart” 명령어로 /(루트) 파티션을 확장하는 테스트를 진행하겠습니다.우선, “growpart” 패키지를 설치합니다.1. ~# yum install -y cloud-utils-growpart.noarch → 명령어로 “growpart” 패키지 설치를 합니다.현재 파티션 정보 확인2. “/dev/nvme0n1p3” 파티션이 “/(루트)”와 마운트 되어있고 타입은 “xf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3. “/dev/nvme0n1” 볼륨은 “50G.. 2024. 8. 22.
Linux 일반 계정 생성 후 관리자 권한 할당 Ubuntu에서 "#adduser" 명령어로 계정을 생성하면 sudo 권한이 부여되지 않아 별도의 작업을 하여서 권한을 부여해 주어야 합니다.우선, 계정을 생성합니다.참고sudo 권한이 있는 관리자 계정으로 진행하여야 합니다.1. ~# sudo adduser test01 -> "#adduser" 명령어로 "test01" 계정을 생성했습니다. 생성한 일반 계정으로 로그인 후 파일을 생성해 보았습니다.2. ~$ mkdir /data -> "sudo" 없이 생성을 하려고 하였을 때에는 "Permission denied" 문구가 출력 되면서 권한이 없다고 합니다.그러면 "sudo" 권한을 주어서 생성해 보겠습니다.3. ~$ sudo mkdir /data -> "sudo" 권한을 주었지만 "sudoers file.. 2024. 7. 31.
DHCP 프로그램을 이용한 서버 MGMT 포트 접속 방법 ILO, IMM, IDRAC 등 하드웨어 관리를 위하여 접속이 필요하나, 제조사에서 설정한 Default IP로 구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DHC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IP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서버 초기 설정 시 MGMT 포트를 Static IP로 지정하지 않으면, 제조사에서 설정한 Default IP로 할당 되거나, DHCP로 구성 됩니다. 1) 자신의 PC 및 노트북을 서버 MGMT 포트 연결 2) DHCP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합니다.다운로드 링크 : Download | DHCP Server for Windows Download | DHCP Server for Windows www.dhcpserver.de  3) 네트워크 설정  4) DHCP 프로그램 실행 (dhcpwiz 실행) 5) 이더넷 설정 .. 2024. 7. 29.
(ESXi 7.0) vCenter Server 설치#1 vCenter란?ESXi가 많을 경우 관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ESXi를 통합하여 관리 및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또한, vCenter를 사용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있으므로 사용을 권장합니다.vCenter는 ESXi에 VM으로 생성되며, vCenter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vMotion, HA, DRS, Clone&Template가 있습니다. ESXi-7.0U3n-21930508-standardVMware-VCSA-all-7.0.0-15934039.iso 설치과정vCenter iso를 탑재하여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설치 진행을 위해서 “Install”을 선택합니다. 소개vCenter Server 설치는 두 단계로 진행됩니다. 첫 번째 단계에.. 2024. 6. 27.
CPU (중앙 처리 장치) 무엇 인가? Cpu 란?(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 : 프로그램의 연산을 실행 및 처리하는 제어 장치 코어 : 동시에 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 ex) 요리사 수쓰레드 : 작은 실행 프로세스 ex) 요리사의 화구 수클럭 : CPU의 동작속도 , 1초에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냐? HZ 단위 표시 ex) 요리속도소켓 : cpu를 메인보드에 장착할 때 만나는 접점 및 접촉부분      LGA (Land Grid Array) : CPU 하단부에 점처럼 칩이 붙어있는 방식      PGA (Pin Grid Array) : CPU 하단부에 핀이 꽂아져 있는 방식           intel : LGA , AMD : PGA Intel cpu모델명 : IBM : Intel(R) Xeon(R) c.. 2024. 6. 27.